아동미술

아동미술 수업 창작 동화를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namuart90 2025. 8. 14. 14:50

아이에게 창작 동화를 쓰게 하고, 이를 그림책으로 완성하는 수업은 단순한 미술 활동이 아니다. 이 수업은 글쓰기와 그림 그리기를 동시에 경험하게 하며, 창의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종합적으로 발달시킨다. 아이는 자신이 만든 이야기를 그림으로 시각화하며 서사 구조를 이해하고, 감정을 색과 형태로 표현하는 법을 배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아이는 독창적인 발상을 키우고, 작품 완성의 성취감을 느낀다. 창작 동화를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는 언어 능력, 시각 예술 능력, 상상력, 그리고 자기 표현의 자신감을 함께 길러주는 융합형 아동미술 교육이다.

아동미술을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창작 동화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가치

교사는 이 수업이 아이의 종합적인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해야 한다. 창작 동화 쓰기는 아이의 어휘력과 문장 구성 능력을 향상시키고, 논리적인 이야기 전개를 익히게 한다. 그림책 제작 과정은 시각적 상상력과 색채 감각을 자극하며, 시퀀스(순서)에 따라 내용을 표현하는 능력을 강화한다. 더 나아가 아이는 ‘내가 만든 세계’가 tangible한 책 형태로 완성되는 기쁨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창작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한다.

수업 준비 단계

주제 선정

교사는 아이가 흥미를 가질 만한 주제를 제시하거나, 아이 스스로 주제를 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마법의 정원’, ‘바닷속 친구들’, ‘시간 여행 모험’ 등은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좋은 소재다.

이야기 구조 지도

교사는 아이에게 이야기의 기본 구조(시작–전개–절정–결말)를 알려주고, 이를 간단한 그림이나 키워드로 정리하도록 돕는다.

재료 준비

그림책 제작에는 스케치북, 색연필, 사인펜, 수채화 도구, 풀, 가위 등이 필요하다. 표지를 만들기 위한 두꺼운 종이나 하드보드지도 준비한다.

수업 진행 과정

동화 쓰기

아이들은 먼저 짧은 글로 이야기를 완성한다. 문장은 길지 않아도 되지만, 주요 사건과 등장인물의 성격이 드러나야 한다.

그림 구성

아이들은 각 장면을 어떻게 시각화할지 구상한다. 교사는 ‘한 장면에 한 페이지’ 규칙을 설명해 주면 좋다.

채색과 세부 표현

채색 단계에서는 이야기의 분위기에 맞는 색을 선택하도록 한다. 슬픈 장면에는 차가운 색, 행복한 장면에는 따뜻한 색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면 감정 전달이 강화된다.

제본 및 완성

모든 페이지를 완성한 후 순서대로 모아 표지를 붙이고, 책 제목을 적는다. 이 과정은 아이에게 진짜 작가가 된 듯한 성취감을 준다.

창작 활동을 풍부하게 만드는 팁

  • 역할극과 결합: 완성된 그림책 내용을 친구들과 역할극으로 연기
  • 음악 삽입: 그림책을 낭독하며 배경 음악을 넣어 분위기 강화
  • 공동 창작: 두세 명이 팀을 이루어 한 이야기와 그림을 공동 제작

평가와 확장 활동

교사는 결과물보다 창작 과정에서의 참여도와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평가해야 한다. 전교생이 참여하는 ‘그림책 전시회’를 열거나, 지역 도서관에 작품을 비치하면 아이들의 동기부여가 높아진다. 또, 디지털 스캔과 편집을 통해 전자책 형태로 제작해 가족과 온라인에서 공유할 수도 있다.

이야기를 그리는 작은 작가들

창작 동화를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수업은 아동의 언어, 미술, 상상력을 종합적으로 발전시키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다. 아이는 자신이 만든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며 표현의 자유와 창작의 즐거움을 배운다. 이러한 경험은 단순한 미술 수업을 넘어, 평생 창의성과 자기표현력을 지탱해 주는 토대가 된다. 교사와 부모가 이 과정을 꾸준히 지원한다면, 아이들은 작은 작가이자 예술가로서의 자부심을 품고 성장하게 될 것이다.